본문 바로가기
영상 콘텐츠

2024년에 계엄이라니.. 영화 <서울의 봄>

by 유리불도저 2024. 12. 17.

1979년 12월 12일, 수도 서울에서 군사쿠데타 발생!

대한민국을 뒤흔든 10월 26일,
잠시 찾아온 민주주의가 채 싹을 틔우기도 전인 12월 12일에

보안사령관 전두광이 반란을 일으키고 군 내 사조직을 총동원, 최전선의 전방부대까지도 빼내어 수도 서울을 짓밟았다.

권력에 눈이 먼 전두광 보안사령관의 반란군과 이에 맞선 수도경비사령관 이태신 등 진압군의 일촉즉발의 대치.

 

도대체, 누가 2024년에 계엄 상황을 다시 맞이하리라 생각했겠는가.

 

등장인물의 이름이나, 수경사령관의 동선 등 실제 역사와는 살짝 다른 부분이 있지만,

정치 군인이나 군을 이용하려는 정치인들을 가려내기 위해 꼭 봐야할 영화!

 

 

 

■ 주요 등장인물

 

전두광 (황정민) : 국군보안사령관,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장 / 모티브 전두환 소장

노태건 (박해준) : 제9보병사단장 / 모티브 노태우 소장

 

이태신 (정우성) : 수도경비사령관 / 모티브 장태완 소장

강동찬 (남윤호) : 수도경비사령부 작전참모 / 모티브 박동원 대령 + 김수탁 중

김준엽 (김성균) : 육군본부 헌병감 / 모티브 김진기 준장

공수혁 (정만식) : 육군특수전사령관 / 모티브 정병주 소장

오진호 (정해인) : 육군특수전사령관 비서실장 / 모티브 김오랑 소

 

최한규 (정동환) : 대한민국 제10대 대통령 / 모티브 최규하 대통령

오국상 (김의성) : 국방부 장관 / 모티브 노재현 국방부 장관

정상호 (이성민) : 육군참모총장 / 모티브 정승화 대장

 

■ 줄거리

 

1. 10.26으로 인한 권력의 공백

- 대통령, 대통령경호실장, 중앙정보부장의 공백으로 인해, 합동수사본부의 전두광이 정보를 독점

- 전두광의 월권 행위에 정상호는 이태신을 통해 견제하려 함

 

2. 반란 모의와 준비

- 정상호로 인해 좌천될 위기에 처한 전두광은 노태건과 함께 하나회를 중심으로 반란을 모의

- 12.12 거사 당일에 수경사령관 이태신, 특전사령관 공수혁, 헌병감 김준엽을 한 곳에 모아둠

 

3. 반란의 시작

- 하나회 일당은 경복궁에 주둔한 수경사 30경비단에 집결

- 국무총리 공관에서 대통령 결재를 받는 동시에, 보안사 일당이 육군참모총장을 납치하려 함

- 대통령은 참모총장 체포는 국방부 장관과 함께 오라며 결재 거부

- 보안사 일당이 총격과 함께 참모총장 강제 연행

 

4. 반란군과의 전쟁

- 수경사령관, 특전사령관, 헌병감은 총장의 체포 소식에 서둘러 원대 복귀

- 헌병감이 대통령 재가를 받지 못하고 물러나는 전두광을 체포하기 직전, 육군참모차장의 그르친 판단으로 도주하게 됨

- 국방부 장관의 신병 확보가 쿠데타의 성패를 가를 시점에, 장관은 한미연합사에 숨어 지냄

- 노태건은 전방 부대인 제9보병사단 예하 2개 연대를 출동시킴

- 하나회 일당은 총장 체포 재가를 받으러 다시 대통령을 협박 및 회유

- 반란군 2공수여단이 서울로 진격중이라는 소식에, 이태신 수경사령관은 3군사령부로 연락해 26사단과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출동을 요청

- 서울 진입 속도가 가장 중요한 시점, 수경사 관할의 모든 한강다리를 봉쇄. 민간 차량의 정체를 이용해 2공수 진입을 저지

- 2공수는 행주대교로 우회, 30사단이 봉쇄에 나서려 하나 모든 통신을 감청중이던 보안사가 '9사단 출동' 정보로 겁박

- 이태신이 행주대교에 바리케이트를 치고 단신으로 2공수를 막아내자, 하나회는 연줄을 총동원해 2공수를 재출동 시킴

- 이태신은 반란군보다 앞서 서울에 올 수 있는 8공수를 설득해 출동시킴

- 전두광은 참모차장에게 2공수와 8공수를 동시에 철수시키자며 '신사협정'을 위장한 기만술을 펼침

- 2공수가 서울에 진입하자 똥별만 가득한 육군 수뇌부는 육군본부 벙커를 버리고 수경사로 도

 

5. 주도권을 잡 반란군

- 반란군 4공수가 특전사령관을 체포

- 반란군 2공수가 육본과 국방부 점거하며 국방부 장관 신병 확보

- 이태신은 휘하 전차 4대, 장갑차 4대, 행정 및 취사병과 같은 비전투병력과 함께 마지막 전투를 위해 출정

 

6. 최후의 5분

- 반란군이 점령한 30경비단 방어선에 대치한 이태신과 전두광

- 이태신은 수경사 야전포병단에 30경비단을 향해 포사격을 명령

- 반란군에 의해 30경비단에 끌려온 국방부 장관은 이태신을 직위 해제

- 이태신은 삼중 철조망 너머의 전두광을 향해 "넌 대한민국 군인으로도... 인간으로도...! 자격이 없어." 라는 마지막 한 마디를 내뱉으며 체포된다

 

7. 반란군의 승리

- 반란군은 국방장관을 앞세워 대통령의 재가를 받아냄

- 반란군 지휘부는 단체 기념 사진을 찍고, 이들 면면을 밝히며 영화는 막을 내린다

 

 

■ 주요 이력

 

문일평 : 육사 17기. 육군 준장. 대통령 비서실 보좌관. 정무수석비서관. 14~15대 국회의원

하창수 : 육사 17기. 육군 준장. 대통령 비서실 사정수석비서관. 14대 국회의원

임학주 : 육사 18기. 육군 준장. 대통령 비서실 민정수석. 안기부 2차장. 13대 국회의원

장민기 : 육사 16기. 육군 중장. 특전사 3공수여단장. 대통령 경호실장. 국가안전기획부장

진영도 : 육사 17기. 육군 대장. 수도경비사령관.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육군참모총장

김창세 : 육사 13기. 육군 대장. 수도경비사령관. 1군단장. 육군참모차장. 3군사령관. 합참의장. 국방부장관

도희철 : 육사 12시. 육군 대장. 26보병사단장. 특전사령관. 3군사령관. 육군참모총장

배송학 : 육사 8기. 육군 대장. 3군사령관. 안기부장. 12~14대 국회의원

현치성 : 육사 8기. 육군 대장. 육군사관학교장. 육군참모차장. 2군사령관. 교통부장관

한영구 : 육사 10기. 육군 대장. 육군참모차장. 3군사령관. 육군참모총장. 11~12대 감사원장

노태건 : 육사 11기. 육군 대장. 수도경비사령관. 체육부장관. 내무부장관. 12대 국회의원. 민정당~민자당 총재

              제13대 대한민국 대통령(1988~1993)
전두광 : 육사 11기. 육군 대장. 중앙정보부장 서리. 국보위 상임위원장

              제11~12대 대한민국 대통령(1980~1988)

 

 

 

'신군부'로 불린 이들은
군조직을 장악 후 정권 탈취를 노렸다

80년 봄, 대학생들의 민주화 시위를
공권력으로 짓밟았고

5.18 민주화 운동으로 확산되자
공수부대를 투입하여 진압했다

마침내 신군부는 대한민국을 송두리째 삼켰다

찬란했던 '서울의 봄'은 그렇게 끝났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