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꿀팁

2주만에 당뇨 판정 위기 벗어난 썰

by 유리불도저 2024. 12. 12.
반응형

오랜기간 경계성 당뇨로 살아왔습니다.
 
노화가 성큼 찾아와, 급한 불을 꺼야할 곳이 한두 군데가 아니라서 적당히 관리하면서 살자고 타협했더랬죠.
 

경계성 당뇨란?
: 당뇨병 전 단계. 비당뇨인 보다 혈당이 높지만, 당뇨 환자보다는 낮은 상태
: 당화혈색소 5.7~6.4% 
: 공복 혈장 포도당 100~125mg/dl

당화혈색소란?
: 2~3개월간의 평균 혈당치

당뇨 진단 기준은?
: 무작위 혈당 200ml/dl 이상, 공복 혈당 126ml/dl 이상, 식후 2시간 혈당이 200ml/dl 이상, 당화혈색소 6.5% 이상

 
 
그런데,
 
2주전(11월 19일, 화) 건강검진에서, 당뇨로 진입한 것이 의심되어 다음 2가지 처방을 받았습니다.
 
1. 당부하검사 (공복 혈당 126ml/dl 이상, 당화혈색소 6.5% 이상으로 당뇨 의심시)
2. 연속혈당측정기 (2주간 신체 부착후 연속으로 혈당 수치 측정해 의사와 환자 스마트폰에 정보 전송)
 
 
11월 26일(화)
■ 당부하검사 
- 10~12시간 금식후, 75g의 포도당을 5분 안에 마신다
- 30분 간격으로 2시간에 걸쳐 채혈한다
 
■ 연속혈당측정 
- 피부 아래에 센서를 삽입해 일상 생활중 혈당 변화를 측정, 5분마다 평균값 산출
- 채혈침이 필요 없고 일상 생활중 음식, 간식, 운동 등에 따른 변화를 추적할 수 있어 유용함
 
 
이제 2주 안에 특단의 대책이 없다면 당뇨 판정이 눈앞에 닥쳐온 상황...
 
 
▣ 1단계 : 정보 검색
- 혈당 이해하기
- 혈당 지수 (GI), 혈당부하 지수 (GL)와 해당 음식
- 혈당 낮추는 운동
 
GI 낮은 식품을 많이 먹어서 흡수한 당의 총량 >>>>> GL 높은 식품을 적게 먹을 때...
따라서, 음식의 섭취량을 고려해서 종합적으로 산출한 혈당부하 지수 (GL)이 더 정확하고 중요함
 

GI 지수로는 식품의 섭취 총량에 따른 당 섭취를 반영하지 못하니 GL 지수로 보자
사과와 수박은 마음껏 먹어도 됩니다

 
 
 
▣ 2단계 : 2주간 식단 조절, 운동 처방
 
1) 식단 : 저혈당부하 지수 식품 먹기, 탄수화물과 당 섭취 제한
○ 아침은 잘게 썬 양배추와 계란 살짝 익혀서 먹기 (with 들깨)
○ 점심은 회사 근처에서 '키토 김밥' (김 + 채소, 계란 지단)
○ 저녁은 다양한 샐러드
 
 2) 식습관 개선
○ 음식 먹는 순서 바꾸기 : 채소 먼저 - 단백질 충분히 섭취 - 배부르면 그만 - 부족시 탄수화물 조금
○ 최대한 천천히 먹기 : 뇌가 포만감을 느끼게 해주는 호르몬으로 지방 세포에서 분비되는 랩틴(leptin)을 기다린다
    * 식사 시작후 20분은 지나야 랩틴 분비
    * 충분한 수면 시간이 보장되어야 랩틴이 잘 분비
    * 적당한 신체 활동, 햇빛 등이 랩틴 분비를 자극하므로 야외에서 걷기
○ 커피믹스와 간식 끊기
○ 저녁 8시 이후 음식 섭취 안하기 (우유, 탄산수만 조금)
 
3) 운동 : 혈당을 많이 소비하는 큰 근육 (허벅지) 위주로
○ 혈당 급격히 오를 때, 계단 1~17층 오르기 (회사) : 익숙해지면 발 앞부분만 딛고 뒤꿈치는 허공에...
○ 집 주변 5~10분 달리기
○ 점심에 헬스장에서 트레드 밀 (러닝머신) 10분 달리기
○ 사무실 의자에서 발 뒤꿈치 들기 (가자미근 운동)
 

책상 앞에 앉아 살 빼고 혈당 줄이는 운동, 진짜로 있다고?

도시에 사는 현대인들은 하루의 대부분을 앉은 자세로 보낸다. 이에 따라 줄어든 활동량은 체내 에너지 대사를 떨어뜨려 비만, 당뇨 등의 위험을 높이는 쪽으로 작용한다. 좌식 생활을 하면서도

www.hani.co.kr

 
 
★ 혈당 스파이크 찾아온 순간 (주의!!!)
 
1. 샐러드 소스 뿌렸을 때 : 반드시 성분표 찾아볼 것. 의외로 설탕이 많이 들어감. 대체당 들어간 소스 시판중
 
2. 공복으로 헬스 + 러닝
: 간과 신장에서 포도당을 활발히 합성해서 혈당이 급격히 상승할 수 있음
: 혈당 조절하는 인슐린 대신 혈당 올리는 글루카곤이라는 호르몬 분비가 촉진
: 공복에 유산소 운동시 스트레스로 인해 코르티솔 호르몬 분비 (혈당 조절 방해)
 
 
▣ 3단계 : 진료 및 결과
 
1) 체중 : 5kg 감량
2) 체지방 : 15.1%
3) 평균 혈당 : 119ml/dl
4) 당화혈색소 : 5.8%
 
 
★ 해피엔딩

위 2단계의 방식은 '교과서'적이며
이미 많은 논문과 데이터로 입증되었고,
이렇게 2주 만에 제대로 숙제한 경우는 매우 드물다.
약 처방 없이 잘 관리하고 4개월 후에 다시 봅시다.

 
 
[참고] GI와 GL 비교표

반응형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유행어 : 듀프 소비 (Dupe)  (0) 2025.02.05
요즘 유행어 : 킹핀 (Kingpin)  (2) 2024.12.16
요즘 유행어 : Brain rot  (0) 2024.12.11
저혈당 식품, GI가 낮은 음식을 먹자  (0) 2024.12.04
2024년 리뷰  (2) 2024.11.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