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제22대 임금 정조는 왕세손 시절부터 일기 쓰는 습관을 가졌다고 합니다.
"밤에는 하루의 일을 점검하고.. 한 달이 끝날 때면 한 달 동안을 점검하고.."
"이렇게 실천하니 잘한 것과 잘못한 것, 편리한 것과 그렇지 못한 것을 깨닫게 된다."
정조 5년, 그는 이 일기를 좀 더 체계적으로 정리해 '국정일기'로 만들고자 했습니다.
그래서 탄생한 책이 '일성록' (날 일日, 살필 성省, 기록할 록錄)입니다.
일성록은 왕뿐 아니라 관료의 열람도 가능해 국정 현황을 돌아보고, 그 운영에 참고하는 지침서가 됩니다.
우리 민족은 국가에서 일어난 모든 일을 세세하게 기록하고, 공정성을 위해서 왕조차 열람하지 못하게 한
<조선왕조실록>을 남겼으며,
이로도 부족해 왕명 출납, 행정 사무 등을 기록한 <승정원일기>를 쓰고,
거기에 왕의 일기, <일성록>까지 기록으로 남겼습니다.
우리 선조들이 이렇게까지 역사를 기록하는 데 온 힘을 쏟은 것은, 역사의 지혜가 오늘의 무지를 쓸어낸다고 믿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지은이 : EBS 역사채널ⓔ, 국사편찬위원회
출판사 : 북하우스
출간일 : 2013년 2월
EBS의 대표 프로그램 <지식채널ⓔ>에 이어, 2011년 10월 부터 기획-편성된 프로그램 <역사채널ⓔ>의 내용을 간추린 시리즈입니다. (1~5권)
"내가 두려워하는 것은 역사뿐이다" <연산군>
시대를 살고 간 선인들이 남긴 기록은 오늘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가장 명료하게 웅변하고 있습니다.
지금, 잊고 살았던 역사책을 찾아 읽으시길 권합니다.
목차
1부> 어떻게 살 것인가
01 어떤 젊음 | 이회영과 신흥무관학교
02 이상한 밀지 | 광해군
03 말의 길, 언로 | 대간
04 만 년 후를 기다리는 책 | 조선왕조실록
05 영웅과 역적 사이 | 사라진 사무라이 사야가, 김충선
06 최고의 교육 | 할아버지의 육아일기 <양아록>
07 한류, 믿음을 통하다 | 한일 관계 묻다, 통신사
2부> 나는 누구인가
01 자화상 | 개인 뿐 아니라 시대를 투영하는 그림, 윤두서
02 왕의 남자가 되는 법 | 환관 김처선
03 고향으로 돌아온 여인들 | 전쟁과 여인들의 수난, 환향녀
04 네 개의 단서 | 관의 모양, 성화, 유리병, 손가락, 안중근의 유해는?
05 조선의 이방인, 백정 | 시대에 따라 달라진 뜻
06 조선의 시간 | 시간과 글자로 자주성과 주체성을 세운 세종대왕
07 보이지 않는 시선 | 일제 강점기 사진과 엽서
3부> 무엇을 기억할 것인가
01 999번째 수요일 | 일본군 위안부
02 기억을 기억하라 | 안네의 일기, 이재영의 4.19, 주소연의 5.18
03 1894년 그날 | 동학농민혁명
04 어떤 반란 | 임진왜란, 왕자를 적에게 넘긴 국경인-국세필
05 승자 없는 전쟁 | 신미양요와 쇄국정책
06 100년 만의 귀환 | 조선국함경도임명대첩비와 문화재 환수
07 폭파 위기의 덕수궁 | 6.25 덕수궁 포격 명령을 지연시킨 제임스 해밀턴 중위
* 모뉴먼츠 맨
UN군이 2차 세계대전중 이탈리아 몬테카시노 수도원에 공중 폭격을 감행. 악화된 여론을 무마하기 위해 전쟁중 문화유산 보호를 전담하는 특수부대를 결성하고 이들을 'The Monuments Men'이라 칭함
조지 클루니가 제작, 각본, 감독, 주연을 모두 맡아 영화화
'책,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독서 리스트 (2) | 2023.03.22 |
---|---|
150년 하버드 글쓰기 비법, 4년 수업을 1시간에 배우 (0) | 2023.03.21 |
정재승의 과학 콘서트, 한국 과학책의 전설 | (2) | 2023.03.19 |
82년생 김지영, 페미니즘은 망국 (2) | 2023.03.18 |
식사가 잘못 됐습니다, 일본 최고 비만 의사의 진단 (4) | 2023.03.17 |
댓글